외국어 학습실험

영어문장 암기 D+1 | purview, barge into, tip off, sloppy, confiscate, tenuous, sabotage, rip off

knownlearn 2024. 6. 7. 18:28

하루에 영어문장 20개를 찾아내어 암기하는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전반적으로 문장이 너무 길면 암기하는데 오래 걸리기 때문에 앞으로 문장을 선택할 때는 가능한 한 10개 전후의 단어로 이루어진 문장을 택해야 할 것 같았다. 최대한 정확하게 발음하면서 입에 붙을 때까지 반복해야 한다. 

 

 

엑셀 화면 캡처사진
랜덤 영어문장 20개 (2024/06/07)

 

 

랜덤 영어문장 

 

■ Certain things fall under my purview

'어떤 것들은 제 권한 안에 놓여 있습니다.'라는 뜻이다. 'purview'를 네이버 영어사전에 검색하여 보니 명사로서 1) 이해의 범위, 시야 2) (활동·직권·관리 등의) 범위, 영역, 권한 3) 법전의 본문, 조항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었다. 미드에서 가져온 단어였으므로 이 문장이 사용된 상황을 되짚어본다면, 시야 또는 권한/영역이라고 번역되면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fall under the purview가 '권한에 속하다'라고 해석된다면, fall outside the purview는 그 반대의 의미로서 '권한 밖이다'라는 뜻으로 이해하면 된다. 네이버 영어사전에서 제공되는 예문들을 살펴보면, Young people would be removed from the purview of juries라는 문장이 있는데 여기에서는 '범주'라고 번역하면 될 것이라 생각했는데 함께 제시된 해석을 보니 '구성'으로도 번역이 되는 것 같았다.

 

You barged into my house like a Mexican banshee and slammed my door.

'네가 내 집에 멕시칸 유령처럼 쳐들어와서 문을 부쉈잖아.'라는 뜻이다. barge into라는 숙어는 처음 듣지만, 드라마 속의 상황을 직접 눈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거칠게 문을 열고 들어왔다는 것과 비슷한 의미라고 추측할 수는 있었다. 뜻을 찾아보니 '~와 세게 충돌하다'는 뜻이었고 'barge into' 또는 'barge against'로도 사용이 된다고 한다. 

 

'banshee'는 영미권에 오래 거주하였거나 살았던 경험이 없다면 쉽게 들어볼 수 없는 단어이기에 너무나도 생소했다. 한국어로는 '밴시'라고 읽으며 아일랜드 민화에서 구슬픈 울음소리로 가족 중 누군가에게 곧 죽게 될 것임을 알려준다는 여자 유령을 의미한다고 한다. 드라마 상에서 문을 부순 인물이 히스패닉계였기 때문에 (밴시가 아일랜드 민화에서 출연하여 백인일 것으로 예상된다) Mexican이라는 단어와 함께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slam'은 자주 들어보았으나 뜻을 정확하게 모르는 단어였다. 그 뜻은 '쾅, 탁 닫다' 혹은 '세게, 힘껏 놓다'로서 단순히 문을 닫는 것이 아닌, 문을 더욱 세게 쾅 소리가 나도록 닫을 때 사용되는 단어로 보인다. 

 

■ What would he think if we were tipped off as to what his dear old father were capable of. 

해석하자면, '그의 아버지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우리가 귀띔을 해준다면 어떻게 생각할까?' 정도일 것으로 보인다. 'tip off'는 명사과 동사로도 사용이 되어서 동사형으로는 다 쏟다, 제보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명사형으로서는 제보, 귀띔으로 검색이 되었다. 수동의 의미로 사용될 경우에는 get a tip-off로 활용이 되는 것 같았다. 

 

'as to'는 영어 문장에서 많이 발견해왔지만, as 때문에 '~라는', '~와 같은'이라는 뜻으로 오해하고 있었다. 이번 기회에 as to가 '~에 관한'이라는 뜻을 가졌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다만, about, regarding, concerning 등 비슷한 뜻을 가진 단어들이 많은데 왜 이 문장에서만 as to가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차이를 알 수 없어 답답했다. 

 

He got sloppy. / He does a sloppy job. 

드라마 속 상황 상 '어설퍼지네/엉성하네.' 정도로 이해를 했다. 'sloppy'는 엉성한, 대충의, 대강의, 헐렁한, 허접한, 어설픈, 후줄근-질척한 등으로 해석이 될 수 있었다. 가장 이해에 도움이 되었던 네이버 영어사전의 예문을 살펴보자. Anyone who's sloppy about his appearance is going to be sloppy in his work. 여기에 달린 한국어 해석에서는 '칠칠맞다'라는 표현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When they pulled up your social security number, it says you are 117 years old. 

'pull up'이라는 동사가 끌어올리다, 당기다라는 뜻으로도 사용되지만, SSN이라는 정보를 당길 수는 없는 노릇이니 어떻게 해석되는지 궁금해서 가져와봤다. 의역을 하자면 대략적으로 '조회하다'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한 정보를 조회할 때는 pull up이 아니라, make inquiries, inquiry into/about, check 등 다양한 표현이 먼저 떠오르기 때문에 구글링이 필요했다. 

 

네이버 사전에서도 pull up의 사전적 의미에서 '조회하다'와 비슷한 것을 찾아볼 수 없었기 때문에 'Pull up ssn'으로 구글링을 해보니 pull up accounts, pull up medical records, pull up verification letter, pull up the Employee Details report, pull up bank or creidt card statements, pull up information 등의 검색결과를 찾아볼 수 있었다. 위 문장을 번역하면 they가 공무원이라고 가정했을 때, '그들이 당신의 SSN을 조회했을 때, 당신이 117살이라고 했대요."정도로 이해할 수 있겠다.

 

Economic and environmental policies may invite resistance from those who are negatively affected, sometimes pitting the government against their constituents.

'invite resistance'를 저항을 초래한다는 뜻으로 이해를 했으나, 이것이 저자의 개인적인 표현인지 아니면 실제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표현인지 확실하지 않았다. 검색을 해보니 invite resistance 자체적으로 '반발심을 불러일으키다'라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검색하지 않고 지나갔다면 관용적으로 사용되는지에 대해 확신할 수 없어 추후 사용할지 말지 고민을 했었을 것 같다. 

 

'pit'이라는 단어는 처음 접했다. 동사형으로는 자국, 구멍을 남긴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으나, 네이버 영어사전에서 제시되는 예문들을 종합해 보니 pit 바로 뒤에 오는 대상이 against 뒤에 오는 대상에 맞선다는 뜻으로 해석이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위의 문장들을 직역해 보면 다음과 같다. "경제 및 환경정책은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는 자들로부터의 반발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때로는 정부가 시민들에 맞설 수 있다."

 

 

 

The judgement can be skewed due to a lack of judicial independence when the fairness of the process is subject to political authority.

'skew'는 왜곡하다라는 뜻의 동사라고 한다. 그리고 'be subject to'는 '~의 대상이다'이지만 문맥에 따라 '~로 한다', '~해야 한다'로도 해석이 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해석해 보면, "판결은 절차의 공정성이 정치권력의 대상이 될 때, 사법독립의 결핍으로 인해 왜곡될 수 있다."로 이해할 수 있겠다. 

 

Activist lawyers in China were barred from defending Tibetan protesters at court. 

'bar from'은 무언가를 금지한다는 'ban'과 유사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 bar를 쓰고 ban을 쓰는지는 알 수 없었다. ban이 더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 같은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bar가 사용되었다면 그만의 이유가 있지 않을까란 생각이 들기도 했다. 


Powerful paramilitary groups confiscated the land of peasants in tandem with widespread abuse.

paramilitary는 '준군사적인, 불법 무장단체의'라는 뜻을, confiscate는 몰수하다란 뜻을 가지고 있다. in tandem with는 태어나서 처음보는 접속사였는데 '나란히, 동시에, 협력하여'를 의미했다. 이를 바탕으로 직역을 해보자면, "영향력 있는 불법 무장단체는 광범위한 학대와 함께 소작농의 토지를 몰수했다"라고 이해할 수 있겠다. 

 

Less tangible issues of self-esteem and respect are often enmeshed with territorial or other types of tangible objects that antagonists fight over. 

enmesh는 휘말리게 하다, 걸려들게 하다, 곤란에 빠뜨리다란 뜻을 가지고 있다. antagonist는 적대자, 상대, 적수 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해석해보자면, "자존감과 자기 존중에 대한 덜 가시적인 문제는 대개 영토 또는 적들이 싸우는 가시적인 대상에 대한 여타 유형들과 얽매이게 된다." 정도로 이해할 수 있다. 

 

The Palestinian-Israeli peace process was derailed because of prevalence of hawkish factions.

derail은 탈선하다 혹은 탈선시키다는 의미이며,  prevalence는 만연하다는 뜻을 가진 prevalent와 연계하여 생각해보면 '유행, 보급'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hawkish는 '매'를 의미하는 hawk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강경파'이며, faction은 파벌, 파당을 의미한다. 위 문장을 해석하면,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평화는 매파적/강경파 파벌의 유행으로 인해 더뎌진다."로 의역할 수 있겠다. 


When the agreement is tenuous or the situation is volatile, intervention can be geared toward guaranteeing the implementation of settlement or supporting the rules.

tenuous는 극도록 허약한, 미약하고 보잘것 없다는 뜻을 가진 형용사이다. volatile은 급변할 것 같이 불안하거나 변덕스럽다는 뜻을 내포한 형용사이며, gear는 toward와 함께 사용되면 '~에 맞추다, 조정하다'로 이해된다. 위 문장은 "동의가 미약하거나 상황이 변덕스러울 때, 합의가 집행되도록 보장되거나 규정이 지원될 수 있도록 개입이 조정될 수 있다."로 해석할 수 있겠다. 여기에서 settlement를 정착으로 알고 계시는 분들이 많아 혼동이 있을 수 있으나, 문맥상 합의 정도로 보면 된다. 

 

 

 

Good luck with your family situation.

집안에 좋지 않은 일이 있던 주인공에게 건넸던 말이다. 어떻게 직역하면 좋을지 모르겠으나, 어찌 됐든 집안일이 잘 흘러가길 바란다는 뜻이겠다. 접해본 적이 없는 표현이라서 추가해 보았다. 

 

I didn't get a chance to deposit it in my checking account. 

deposit이라는 단어는 익히 알고 있으나, 어떻게 활용되는지 몰랐었다. 명사로도 쓰이고, 동사로도 쓰인다면 deposit 뒤에 목적어가 온다. 예금하고자 하는 돈이 어디에 들어가는지에 따라 계좌의 성격이 달라진다. 


I don't want to be indebted to that loser. 

indebted라는 형용사만 알고 있다가 문장에서 활용하는 경우는 처음 접했다. '그 루저에게 빚을 지고 싶지 않다'라는 뜻의 문장이며 indebted 뒤에 전치사 'to'가 함께 한다.

 

You're sabotaging me. 

이 표현이 일상언어에서도 자주 사용되고 있었다. 2-3편의 드라마 에피소드를 보는 내내 이 표현이 못해도 5번 이상 나왔었다. '나를 방해하고 있잖아'라는 뜻이다. 특히나 고의로, 의도적으로 방해할 때를 의미한단다. 

 

Glad I saw this side of you.

'너의 이런 면도 볼 수 있어 좋다' 정도로 이해했다. 그동안 봐왔던 상대의 면모가 아닌, 새로운 모습을 보았을 때 사용되는 거서 같았다. 


I am running your article in my magazine.

'내 잡지에 너의 기사를 게재할거야'라는 뜻이다. 찾아보니 run 대신에 carry로도 대체가 가능하였다. 

 

I couldn't get off of work. 

get off of work는 '퇴근하다'라는 뜻이다. 'get off of + 사람'이라면 그 상대를 놓아주라는 의미이다. 

 

Not gonna rip us off

'rip + 사람 + off'는 바가지를 씌운다는 뜻이다. 무언가를 누군가로부터 뜯어내려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우리에게서 뜯어내진 않을 거야'라는 뜻으로 이해했다. 


 

영어문장을 선택하는 데 있어 고민인 점은 논문이나 책에서 가져오는 표현을 넣고 싶어도 너무 길다는 것이다. 이를 쪼개면 의미가 분산되는 경우가 있기에  그대로 넣어두는 편이 편할 수 있지만, 암기에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리면 암기 공부를 즐길 수가 없기에 조금 더 고민을 해보아야겠다. 우선 이렇게 모아둔 20개 문장을 반복하고 외우는 데에 시간을 집중해 본다.

 

 

외국어 학습실험 ① | 매일 영어문장(표현 X) 20개 암기

 

외국어 학습실험 ① | 매일 영어문장(표현 X) 20개 암기

외국어 중에서도 영어는 지구상의 공용어로서 가장 파이가 큰 언어이기 때문에 공부를 하든, 일을 함에 있어서 그 필요성을 매번 느끼게 된다. 퇴사를 하고 시간이 많이 남아돌던 지금, 외국어

phdreality.tistory.com